유방암으로 항암 치료받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골수 억제의 예측인자
Predictive factor for excessive myelosuppression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Purpose:
Myelosuppression, particularly neutropenia, is one of the most frequent and serious toxicity see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systemic chemotherapy. However, the predictive factors for development of severe neutropenia in chemotherapy remain unknown. We therefore evaluated predictive factors for excessive myelosuppres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41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reated with chemotherapy from 2000 to 2012.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number of using o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and pretreatment hematologic values were extrac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Patients were sorted 2 groups by number of using G-CSF in each chemotherapeutic regimens; group 1 is more G-CSF (within high 20 percentile) and 2 less G-CSF using group (within lower 20 percentile).
Results:
Number of using G-CSF was ranged 0–83 (mean 10.76). One hundred one patients were in group 1 and 65 patients were in group 2. Mean of number of G-CSF using was 0.21 in group 1 and 28.02 in group 2. Pretreatment white blood cell, hemoglobin and platelet count were low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6.88×103/μL vs. 5.97×103/μL, 12.63 g/dL vs. 11.90 g/dL, and 275.95×104 μL vs. 227.37×104μL).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othe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body mass index or comorbidities, hormonal receptor, stage, and other pretreatment hematologic values.
Conclusion:
Pretreatment white blood cell count, hemoglobin and platelet count can be used to identify patients at increased risk of significant myelosuppression undergoing chemotherapy with breast cancer.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target high-risk patients for prophylactic treatment.
서 론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치료는 주요한 치료 중의 하나로 재발 방지 및 예후와 생존율의 향상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1,2]. 그러나 이에 따른 부작용들도 많다. 이들 중, 골수억제, 특히 호중구 감소증은 유방암으로 항암화학치료를 시행받는 환자에서 가장 흔하고, 심각한 부작용 중의 하나이며, 각종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을 야기하고 심한 경우에는 이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absolute neutrophil counts lower than 500/mm3)은 치료하지 않을 시에 호중구성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치료의 연기나 중단 및 원치 않는 항암제의 감량 등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예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3,4].
과립구집락자극인자는 DNA 재조합 기술로 만든 것으로 정상 과립구 전구 세포의 증식, 분화와 성숙을 자극, 촉진하여 혈중 호중구 수치를 높여 면역력 회복을 도와준다. 또한 과립구집락자극인자는 호중구 감소증에 따른 이러한 부작용들을 줄이기 위해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하는 환자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예방적 사용에 대한 항암화학요법 및 환자의 특성에 따른 여러 치료 지침들이 마련되었다[5-8].
그러나 유방암으로 항암화학치료를 시행받는 환자들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의 예측 인자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과도한 골수억제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상 환자
2000년부터 2012년까지 건양대학교 병원에서 수술 전 및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치료를 시행받은 341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방암에서 주로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 5종류를 선택하였으며, 그 이외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19명을 제외한 322명을 분석하였다. 총 322명의 환자 중, 116명의 환자는 CMF (cyclophos phamide 100 mg 1일차부터 14일차까지 복용, methotrexate 40 mg/m2 과 5-fluorouracil 600 mg/m2 을 1일차와 8일차에 정맥주사, 4주 간격의 방법으로 총 6차례 시행), 97명은 FAC (5-fluorouracil 500 mg/m2 와 doxorubicin 50 mg/m2 와 cyclophosphamide 500 mg/m2 을 1일 차에 정맥주사, 3주 간격의 방법으로 총 6차례 시행), 62 명은 AC 이후에 T (doxorubicin 60 mg/m2 와 cyclophosphamide 600 mg/m2 를 1일차에 정맥주사, 3주 간격으로 총 4차례 시행 후 paclitaxel 175 mg/m2 을 1일차에 정맥주사 3주 간격으로 총 4차례 시행), 19명은 AC (doxo rubicin 60 mg/m2 와 cyclophosphamide 600 mg/m2 를 1일차에 정맥주사, 3주 간격으로 총 4차례 시행), 28명은 AD (doxorubicin 60 mg/m2 와 docetaxel 75 mg/m2 을 1일차에 정맥주사, 3주 간 격으로 총 6차례 시행)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각 항암제의 표준 요법에 정해진 횟수만큼 시행할 것으로 계획하였다.
항암제 시작 전 환자에게 항암 동의서를 각각 받았으며, 항암제 투여하기 1일 전, 혹은 항암제 투여 당일 투여 전에 백혈구 수, 혈소판 수를 비롯한 기본 혈액검사, 흉부 X선 촬영, 심전도를 시행하였다. 항암제 투여 1일 전 혹은 투여 당일 시행한 혈액 검사 상 호중구 수 1,500개/μL 미만이거나, 혈소판 10만/μL 미만인 경우에는 항암제 투여를 1주일 연기하였고, 2번 이상 연기하게 되는 경우, 용량 감량을 20% 시행하였다.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경우, 그 다음 항암제 투여 시에도 용량 감량을 20% 시행하였다. 항암제와 동시에 방사선치료 및 내분비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없었고, 필요한 환자는 항암제를 모두 마친 후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건양대학교 병원 임상시험센터의 승인을 받고(IRB No.: 2015010219) 모든 자료를 전자차트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환자의 나이, 키, 몸무게, 신체질량지수, 당뇨와 고혈압 등의 동반 질환의 유무 등의 임상적 특성 및 tumor, node, metastasis (TNM) 병기와 호르몬 수용체 등의 조직학적 특성과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 개수, 치료 전 혈액학적 검사결과(백혈구, 혈색소, 적 혈구용적률, 혈소판, 신장기능, 간기능 및 혈당 포함) 등을 전자차트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대상 환자 중 항암화학요법 시행 전 시행한 혈액학적 검사 상 1,000 이하의 절대 호중구 감소 소견인 경우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절대 호중구가 1,500 이상이 되면 투여를 중지하였다. 과립구집락자극인자는 필그라스팀 300 μg을 하루 한 번 피하주사로 사용하였다.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이 많은 환자군을 상위 20퍼센타일로 보았고, 상위 20퍼센타일에 해당되는 과립구집락자극인자 사용 횟수는 6개 이상이었다. 이와 비교하기 위해 과립구집락자극인자 사용이 적은 환자군을 하위 20퍼센타일에서 확인하였고, 이는 과립구집락자극인자 사용 횟수가 3개 이하로 확인되었다. 그룹 1을 하위 20퍼센타일 환자군, 그룹 2를 상위 20퍼센타일 환자군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
통계학적인분석은 PASW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적게 사용한 그룹 1과 많이 사용한 환자군인 그룹 2의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치료 시작 전 혈액학적 검사 결과를 Fisher’s exact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하다 하였다. 또한 안트라싸이클린 항암제를 사용한 경우의 그룹 1과 그룹 2의 치료 시작 전 혈액학적 검사 결과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으며, 하위 분석으로 탁산계열 항암제 사용 없이 안트라싸이클린만 사용한 경우의 그룹 1, 2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와 안트라싸이클린과 탁산계열 항암제를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한 경우의 그룹 1, 2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항암화학요법에 따라 골수 억제 정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유방암에서 주로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 다섯 종류를 선택하였으며, 그 이외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19명을 제외한 322명을 분석하였다.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3개 이하 사용한 그룹 1 환자는 101명이었고, 6개 이상 사용한 그룹 2 환자는 65명이었다. 두 군 간의 나이 및 신체 질량지수나 동반 질환, 호르몬 수용체, TNM병기는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Table 1).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 개수는 평균 10.76개(범위, 0–83개)였으며, 과립구집락자극 인자의 사용 개수가 적은 환자군인 그룹 1은 평균 0.21개를 사용하였으며, 그룹 2는 평균 28.02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총 322명의 환자 중 116명의 환자는 CMF (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5-fluorouracil), 97명은 FAC (5-fluorouracil, doxorubicin, and cyclophosphamide), 62명은 AC → T (doxorubicin and cyclophosphamide followed paclitaxel), 19명은 AC, 28명은 AD (doxorubicin and docetaxel)요법을 시행하였다(Table 2). 항암화학요법에 따라서도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 개수는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AD 요법을 시행받는 환자들에서 평균 28개(범위, 0–60개)로 가장 많은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한 번이라도 있었던 환자는 Group 1에서 5명 (5.0%), Group 2에서 6명(9.2%)으로 나타났고, 모든 환자는 안트라싸이클린 포함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였다.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 개수가 많았던 그룹 2 환자군에서 치료 전 백혈구 수치가 5,970/μL로 6,880/μL인 그룹 1 환자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7), 혈색소 수치 또한 그룹 2에서 11.90 g/dL로 그룹 1의 12.63 g/dL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9). 혈소판 수치는 그룹 2에서 227,370/μL로 그룹 1의 275,950/μL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이 외의 다른 혈액학적 검사 수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안트라싸이클린 계열 항암제를 사용한 환자군만 따로 그룹 1과 그룹 2로 나누어 치료 전 혈액학적 검사 수치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룹 1은 57명, 그룹 2는 41명의 환자가 해당되었다. 혈액학적 검사 수치는 백혈구 수치가 그룹 1에서 6,920/μL, 그룹 2에서 5,320/μL로 유의하게 그룹 2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7), 혈소판 수치가 그룹 1에서 280,410/μL, 그룹 2에서 230,080/μL으로 나타나 이 역시 그룹 2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혈색소 수치나 다른 혈액학적 검사 소견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탁산계열 항암제를 사용하지 않고 안트라싸이클린 항암제만 사용한 경우인, FAC 요법과 AC 요법을 사용한 환자 61명에 대해 하위 분석을 시행한 결과 호중구 수치는 그룹 1에서 4,927/μL, 그룹 2에서 3,645/μL로 그룹 2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9), 혈소판 수치 또한 그룹 1에서 273,680/μL, 그룹 2에서 226,190/μL로, 그룹 2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4). 백혈구, 혈색소 등의 다른 혈액학적 검사는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5).
안트라싸이클린 항암제와 탁산계열 항암제를 동시 또는 연속해서 사용한 경우인, AC-P 요법과 AD 요법 항암제를 사용한 37명의 환자에 대해 그룹 1, 2로 나누어 혈액학적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백혈구, 호중구, 혈색소, 혈소판 등 모든 혈액학적 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 찰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중의 하나인 골수 억제는 발열이 동반되면서 호중구를 감소시켜 사용 중인 항암제 용량을 감량해야 하는 주 요인이다. 이와 같은 환자는 비록 임상 증상의 발현이 없더라도 즉각적인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세균감염과 관련한 합병증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치료의 연기나 중단 및 원치 않는 항암제의 감량 등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예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3,4].
열성 호중구 감소증의 위험도는 기간과 정도에 비례하며, 특히 그람 음성균 혈증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즉시 하지 않으면 급속히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 항생제 투여를 함으로써 환자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열성 호중구 감소증의 위험인자로는 항암제의 종류, 투여용량, 환자의 나이, 암의 종류 및 동반 질환 등이 있다.
열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들은 자주 입원하기 때문에 삶의 질이 저하되며 여러 감염에 의한 합병증과 동반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주 사망원인은 패혈증, 패혈증 쇼크와 폐렴이며 사망률이 0%–20%까지 보고되고 있다[6].
과립구집락자극인자는 호중구 감소증에 따른 이러한 부작용들을 줄이기 위해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하는 환자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예방적 사용에 대한 항암화학요법 및 환자의 특성에 따른 여러 치료 지침들이 마련되었다. 이 지침들에서는 65세 이상의 고령, 수행 능력 저하 및 영양 상태 불량, 과거에 절대 호중구 수치 감소증 및 항암화학요법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예방적으로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사용 할 수 있다[5-8]. 본원 에서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환자들 중에서 절대 호중구 수치 감소증 및 항암제 용량 감소인 경우에 예방적으로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횟수는 0–83회로 항암약제의 종류 및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였다. 따라서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횟수에 따라 골수 억제의 정도를 분류하여 골수억제의 예측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몇몇 연구에서 과도한 골수억제 및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에 대한 예측 인자로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지침에서와 유사하게 65세 이상, 진행된 병변, 골수침범, 빈혈, 이전 치료 및 항암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 신 병변을 비롯한 동반질환, 환자의 수행능력과 첫 번째 항암화학요법 후 절대호중구감소 등을 발표한 바 있다[3,4,9,10].
본 연구에서도 이미 발표된 바와 같이 항암화학요법의 종류에 따라 골수 억제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항암화학요법 중에서 안트라싸이클린을 포함하는 AD 및 AC 복합요법에서 강력한 골수 억제를 보였다. 또한 치료 전 백혈구 및 혈색소와 혈소판 수치가 낮았던 환자들에서 과립구집락자극인자를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이 및 신체 질량지수나 당뇨와 고혈압 등의 동반 질환은 골수 억제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방암의 병기나 호르몬 수용체와 같은 종양의 특성과 간기능 및 신장기능과 혈당과 같은 혈액학적 검사 결과는 골수 억제의 예측 인자로 의미가 없었다.
하지만 환자의 수가 적어 제한적이며, 골수억제의 정도를 과립구집락자극인자의 사용 개수로만 구분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계 가 있으며 선택 편견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 전 백혈구, 혈색소, 혈소판 수치가 낮은 환자들은 골수 억제의 고위험군으로 나타났으며, 안트라싸이클린과 탁산을 포함하는 항암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심한 골수 억제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예방적으로 과립구집락자극 인자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골수억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예측 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